본문 바로가기
독후방

풍수 부자들

by 행복배터리 2025. 3. 16.
728x90
반응형

운이 모이는 터, 공간, 사람의 비밀
풍수는 1퍼센트 부자에게 과학이다
(천동희 지음, 유노콘텐츠클럽, 2024)


1장 1퍼센트 부자에게 풍수는 과학이다

# 풍수 부자로 가는 길

'비보풍수'란 땅의 기운이 약하거나 모자랄 때 기운을 보태거나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것이 지나치게 물건 중심적으로 가면,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격이라고 할 수 있다. 집에 두는 물건보다 중요한 것은 그 물건을 두는 마음가짐이다.

#
청소는 나의 공간과 시간을사용해 운을 축적하는 것이다. 습하고 어둡고 먼지가 가득한 곳에서 나오는 나쁜 기운을 막는 행위라고 생각하면 좋다. 쌓이는 먼지를 없애면서 쾌적함뿐만 아니라 평온함까지 얻을 수 있다

# 당신은 명당이 어울리는 사람입니다


2장 부잣집 터는 기운부터 다르다

# 흉한 곳을 피하고 싶다면 평지를 찾아라
좋은 땅을 찾고 싶다면 어려운 이론을 공부하는 것보다 좋은 땅과 익숙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좋은 땅과 익숙해지는 법은 어렵지 않다. 전국에 명당이라고 알려져 있는 고택과 사찰 및 유적지 등을 찾아다니다 보면 나도 모르게 그 공간의 기운에 익숙해지고, 또 그 공간의 기운에 젖어들면서 좋은 곳과 인연이 될 확률이 높아진다

#
풍수에 관심이 생겨 이론적인 공부를 병행하는 것은 좋으나, 풍수를 업으로 삼는 것이 아닌 이상 공간의 기운을 느끼고 교감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내가 머물 공간이 가장 중요하다
만일 내가 살 집, 내가 장사할 공간, 내가 경영할 사옥을 찾는다면, 동네 전체에 치우칠 필요 없다. 전체를 볼  줄도 알아야 하지만, 주변의 보이는 것들에 속아서 정작 나쁜 곳을 선택하는 우를 범하지 않으면 된다.


3장 땅 위에 있는 것들의 중요성

# 채움보다는 비움이 더 중요하다

# 집의 크기보다 중요한 양택삼요
- 현관, 주방, 안방(침실)

# 공간의 충돌은 기운의 충돌이다
양옥 형태의 집 모서리가 나의 집의 정면을 향하고 있다면 이것은 나를 향하는 화살촉과도 같다. 이러한 운의 작용을 보통 ''충살'이라고 표현한다. 특히 '타워형 아파트'에서 많이 나타난다. 요즘은 건물의 배치가 일률적이지 않아서 내가 사는 집의 발코니를 기준으로 했을 때 건너편 건물의 모서리가 정확히 나의 정면을 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곳에 살게 될 경우, 말 그대로 '살'을 맞기 때문에 외부와의 충돌 등 다양한 부정적인 일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
풍수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방향을 나누는 기준은 8방위다. 특히 집을 짓는 양택의 내부 구조는 여덟 방위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는 조합으로 가장 좋은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산림경제>에서도 서북에 앉아 있는 집일 경우, 동북 방향으로 난 대문일 때 좋은 운이 들어오고, 남쪽으로 난 대문일 때에는 좋지 않음을 강조한다.


4장 풍수에서 사람을 뺄 수 없는 이유

#
비움을 강조하다 보면, 간혹 아껴야 잘 산다는 말을 듣는다.아끼면 잘 사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다녀온 수많은 공간 중 비움이 필요하지 않은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버리고 나면, 오히려 채우는 것에 신중해 진다. 어차피 버리게 될 것임을 알기에, 꼭 필요하지 않다면 채우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5장 내가 사는 곳에서 부자가 되는 법

1계명 집을 돈 그릇으로 만들어라

털끝만 한 차이로 화와 복이 천 리나 벌어진다.


2계명 흉한 것을 잘 피해라

흉한 일을 피하고 좋은 일에 나아감


3계명 때가 되면 바뀐다

때가 되면 운이 들어온다는 말을, 아무 노력 없이 기다리면 운이 들어온다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 노력한 자에게 기회가 온다"라는 말처럼, 나의 노력과 행동이 바탕이 되었을 때 나를 도와줄 운이 들어온다.


4계명 시간으로 운의 길을 만들어라

자고 일어나는 것을 규칙적으로 하라

나의 습관, 행동, 마음가짐이 결국 지금의 나를 만든다.


5계명 부자가 될 집을 찾아라

좋은 공간을 얻고 그곳에서 사는 일은, 운과 부가 들어오는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풍수는 인간이 자연의 흐름에 맞게 살아가기 위해 만들어진 옛 선조들의 지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