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후방

성숙한 어른이 갖춰야 할 좋은 심리 습관 - 4/4

by 행복배터리 2025. 4. 7.
728x90
반응형

하버드대 심리학 박사가 권하는 매일 3분 습관
(류쉬안 지음, 원녕경 옮김, 다연, 2020)


PART 4 관계 편
필터버블에서 벗어나는 연습


25 친구가 많아도 여전히 외로운 이유

- 외로움은 외향적 성격이 아닌 '유의미한 교류'와 더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상기하라

♡  '다 함께 홀로'에서 벗어나는 방법 ♡
STEP 1 자신의 마음을 연다
STEP 2 수시로 타인의 근황을 물어 그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STEP 3 자신의 근황을 공유해 비밀을 줄이고, 적극적으로 유의미한 교류의 기회를 만든다


26 나를 즐겁게 만드는 일에 촉각을 곤두세워라

- 모든 사람으 삶이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지는 않으며, 내가 진정으로 타인의 중심이 될 수도 없다. 사람과 사람이 함께할 때는 엇박자가 날 때도 있는 법이디.

- 대인관계에 대한 예민함이 가져다주는 걱정들을 극복하고 싶다면 먼저 자신의 삶에 조금 더 친절해지는 것부터 시작하자


27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우정 공식'

- 우정공식=서로 간의 거리+접촉 빈도+함께 보내는  시간+교류의 깊이

♡ 적극적으로 친구를 사귀는 방법  ♡
STEP 1 서로 간의 적정 거리를 파악해 이를 유지한다
STEP 2 '단순 노출 효과'를 적극 활용하여 상대에게 자주 얼굴을 비춘다
STEP 3 낯섦과 어색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대와 함께 충분한 시간을 보낸다
STEP 4 언어적•비언어적 교류를 통해 상대에게 호감을 심어준다. 보디랭귀지를 활용해 상대에게 호의의 신호를 보내면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


28 바른 마음가짐을 가지면 모두가 당신과 절친이 되려 할 것이다

- 호감은 우리가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한 결과라기보다는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그 이유에 따른 결과에 가깝다. 한마디로 호감은 마음을 다스린데 따른 보상인 셈이다.

- 사실 '인복'은 사람들과의 소소한 교류 속에서 차곡차곡 쌓여간다.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연습을 할 기회가 하루에도 수백 번 존재하는 셈이다. 그러니 이러한 원칙들을 기억해두었다가 교류할 때마다 스스로 상기시켜라. 당신이 바라보는 세상이 선의로 가득하다면 다른 사람들도 자연스레 당신을 좋아하게 될 것이다.

♡ 타인과 교류하는 법  ♡
STEP 1 타인의 동기를 지레짐작하지 않는다
STEP 2 타인이 내게 적의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지 않는다
STEP 3 타인과의 소소한 교류 속에서 마음가짐을 다잡는 연습을 한다
STEP 4 교류할 때마다 내가 바라보는 세상은 선의로 가득하다는 사실을 상기한다


29 인복이 좋아지려면 알아야 할 대화법


♡  좋은 관계를 맺는 법♡
STEP 1 볼수록 정이 쌓인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사람들과 자주 얼굴을 대면한다
STEP 2 '이야깃거리'를 만들되 소문을 화제로 삼지 않는다
STEP 3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는 잠시 스마트폰을 내려놓는다
STEP 4 상대에 대한 사소한 것들을 기억한다
STEP 5 '긍정적인 소문'의 사자가 된다


30 '다 함께 홀로'가 되지 않는 SNS 운영 방법

- SNS에 휘둘리고 이용당하지 않으려면 SNS상에서의 교류 방법을 이해하고, 올바른 활용ㅈ방법을 배워 함께 공존해야 한다


31 유머는 연습할 수 있다

- '유머 감각'은 멋쩍음을 감춰주고, 난처한 국면에서 벗어나게 도와주며,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주기도 하는 정말 중요한 능력이다.

♡  유머 감각을 키우는 연습 방법 ♡
STEP 1남을 놀릴 때는 되도록 상대가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장점'을 공략해 칭찬인 듯 칭찬 아닌 농담을 던진다
STEP 2 '자조'를 적절히 활용한다. 자신을 깍아내리지 않는 선에서 약점을 유머로 승화해 자조할 줄 알면, 사람들과의 거리를 좁혀 내 주변에 웃음이 끊이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
STEP 3 '자기반성' 능력을 키운다. 간단히 말함ㄴ '내가 왜 이런 감정이 드는 걸까?'라고 자문해보는 것이다. 자기반성이라고 해서 자기 자신을 비꼬고 헐뜯을 필요는 없다.


32 활짝 핀 꽃이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법이다

-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법을 배워 편안함과 자신감을 찾으면, 주변 사람들도 이를 느끼고 당신에게 매료될 것이다.

- 24가지 성격적 강점
마틴 셀리그만은 긍정적인 감정이 성격적 강점과 덕성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세계의 주요 종교와 문화에서 보편적으로 중시하는 미덕 6가지와 그에 따른 24가지 특징을 분류했다.
1. 지혜: 창의력, 호기심, 통찰력, 판단력, 학구열
2. 절제: 자제력, 신중성, 겸손, 관용
3. 정의: 단체협력, 공정성, 리더십
4. 인간애: 친절성, 사랑, 사교적 지혜
5. 용기: 용기, 끈기, 진실성, 열정
6. 초월: 영성, 유머, 감상력, 감사, 낙관성


33 대인관계를 두려워하는 당신에게 부족한 한 가지

- 대인공포증을 극복하려면 대뇌가 그 경험을 학습해 익숙해질 때까지, 그래서 더 이상 대인관계를 회피하지 않고 상대와 얼굴을 마주할 수 있을 때까지 한 단계씩 차근차근 스텝을 밟아가야 한다.

- 인지행동 요법
약칭 CBT, 사고•신념•가치 등의 인지적 측면과 정신체 행동의 측면에 관련된 개념•원리•이론을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부적응 행동을 치료하려는 정신 치료의 경향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심리 치료라고 하면 먼저 정신 분석을 하는 것과 달리 CBT는 '행동 치료'부터 시작한다. 행동을 바로잡는 동시에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